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3

고정 비율과 변동 비율 스케줄 정의하기 비율, 간격 스케줄응용행동분석가는 대부분의 치료 프로그램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비율 혹은 간격 스케줄을 사용하는데, 특히 비율 스케줄을 많이 사용한다(Latal & Neef, 1990) 비율 스케줄에서는 강화를 받기 위해 여러 번의 반응을 해야 한다. 비율 조건이 10개의 정반응이라면, 10번째 정반응만이 강화를 받는다. 간격 스케줄은 강화를 받기 위해 일정 시간이 지나야 한다. 만약 간격 조건이 5분이라면, 마지막 강화 받은 반응으로부터 5분이 지난 후에 발생한 첫 정반응에 대해 강화를 받는다. 비율 스케줄에서 강화를 받으려면 여러 번의 반응을 해야 한다. 단순한 시간 경과로는 강화를 받지 못한다. 대신 참가자의 반응률이 강화 빈도를 결정한다. 개인이 비율 조건을 빨리 달성할수록, 강화도 빨리 얻을.. 2025. 5. 2.
강화제의 분류(음식, 감각, 활동 강화제) 행동분석가가 강화제의 물리적 특성- 연구자, 임상가, 기관과 기관에서 일하는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증진할 수 있는 활동에 따라 강화제를 기술할 때 강화제는 대개 음식, 감각, 물건, 활동, 사회적인 강화제로 분류된다.오늘은 음식 강화제와 감각 강화제, 활동 강화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음식 강화제연구자와 임상가들은 강화제로서 선호하는 음식, 스낵, 사탕이나 음료수 한 모금을 사용한다. 만성적인 음식 거부 아동의 치료는 강화제로 음식을 사용하는 흥미롭고 대표적인 예이다. 예를 들어, Riordan, Iwata, Finney, Wohl Stanley(1984)는 병원 치료 센터에서 4명의 아동의 음식 섭취량을 늘리기 위해 강화제로 '선호하는 음식'을 사용하였다. 치료 프로그램에서 목표 음식(예: 야채.. 2025. 4. 17.
강화제 분류하기(무조건 강화제, 조건화된 강화제) 오늘은 강화제를 특징에 기반한 실제적 분류와 근원에 따른 기술적 분류로 나누어 살펴보도록 한다. 그러나 사람들은 강화제의 유형이나 분류와 상관없이, 강화제의 가장 중요한(정의하는) 특징은 동일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모든 강화제는 직전에 수행한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킨다. 근원에 따른 강화제 분류근원으로 분류했을 때 두 가지 기본적인 유형의 강화제가 있다-종의 진화의 산물이거나(무조건 강화제) 개인의 학습에 의한 결과(조건화된 강화제)이다. 무조건 강화제강화와 관련된 특별한 학습 역사 없이 강화제로서 기능하는 자극 변화를 무조건 강화제라고 부른다.(어떤 저자들은 무조건 강화제와 동의어로 1차적 강화제와 학습되지 않은 강화제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무조건 강화제는 종의 진화 역사의 산물(계동 발생학)이기 .. 2025. 4. 16.
강화를 기술하거나 사용할 때 범하는 일반적인 실수 표준화된 기술적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과학적 활동을 의미 있게 기술하는데 필수적이다.응용행동분석의 설계, 시행, 결과에 대해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행동원리의 기술적 용어를 정확하게 사용해야 한다. 강화의 언어(language of reinforcement)는 행동분석가의 어휘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이 상자에서 응용행동분석을 배우는 학생들이 강화에 기반을 둔 개입을 설명할 때 자주 범하는 네 가지 실수를 소개한다. 가장 일반적인 실수는 부적 강화와 벌을 혼동하는 것인데 이는 다음에 이야기하도록 하겠다. 사람을 강화하기학습자에게 강화제를 제시한다고 말하는 것은 적절하지만 (예 : 바비가 질문을 할 때마다 교사가 토큰을 주었다."), "바비가 질문을 했을 때 교사가 바비를 강화하였다."와 철자.. 2025. 4. 14.
관찰자 일치도의 선택, 계산, 보고 시 고려 사항 다음에 이어지는 가이드라인과 권고사항은 행동 측정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관찰자 일치도 사용 시 고려해야 할 질문들이다. 관찰자 일치도는 얼마나 자주, 그리고 언제 구해야 하는가?관찰자 일치도는 연구의 각 조건과 단계별로 측정되어야 하며, 일주일 중 요일, 하루 중 시간, 상황, 그리고 관찰자 간에 고르게 측정되어야 한다. 이렇게 측정하면 결과가 연구에서 얻어진 모든 자료에 타당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현행 치료와 행동 연구 방 법론 교재의 저자들은 적어도 연구의 총 회기 중 20%에서, 가능하다면 회기의 25~33% 정도 관찰자 일치도를 구하는 것이 좋다고 제안한다(Kennedy, 2005;Poling et al, 1995). 일반적으로 실시간 측정에 의해 얻어진 자료를 사용하는 연구에서는 영속.. 2025. 4. 11.
관찰자 일치도를 계산하는 방법 관찰자 일치도를 계산하는 방법은 매우 많은데, 각각은 관찰자의 일치도와 불일치의 정도와 특성에 대해 약간 다른 관점을 가진다(예: Hartmann, 1977; Hawkins & Dotson, 1975; Page & Iwata, 1986; Poling, Methot & LeSage, 1995; Repp, Dietz, Boles, Dietz, & Repp, 1976). 다음에서는 제4장에서 설명된 세 가지의 행동 측정 방법(사건 기록법, 시간 재기/계시(uming), 동간 기록법 혹은 시간 표집법)에 대한 여러 가지 관찰자 일치도 계산법을 소개한다. 응용행동분석에서 여러 통계치가 사용되지만, 관찰자 일치도를 보고하는데 관찰자 일치도에 대한 백분율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아래에서는 관찰자 일치도의 백분율.. 2025. 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