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강화를 기술하거나 사용할 때 범하는 일반적인 실수

by cha-cha86 2025. 4. 14.

표준화된 기술적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과학적 활동을 의미 있게 기술하는데 필수적이다.

응용행동분석의 설계, 시행, 결과에 대해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는 행동원리의 기술적 용어를 정확하게 사용해야 한다. 강화의 언어(language of reinforcement)는 행동분석가의 어휘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이 상자에서 응용행동분석을 배우는 학생들이 강화에 기반을 둔 개입을 설명할 때 자주 범하는 네 가지 실수를 소개한다. 가장 일반적인 실수는 부적 강화와 벌을 혼동하는 것인데 이는 다음에 이야기하도록 하겠다. 


사람을 강화하기

학습자에게 강화제를 제시한다고 말하는 것은 적절하지만 (예 : 바비가 질문을 할 때마다 교사가 토큰을 주었다."), "바비가 질문을 했을 때 교사가 바비를 강화하였다."와 철자를 정확하게 맞힐 때마다 클로이는 칭찬으로 강화 받았다."와 같은 표현은 틀리다. 행동은 강화될 수 있지만, 사람을 강화할 수 없다. 바비의 교사는 질문하는 행동을 강화한 것이지 바비를 강화한 것이 아니다. 물론, 강화는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고, 그런 점에서 개인의 레퍼토리에 있는 행동을 증가시킨다. 그러나 강화의 절차와 일차적인 효과는 행동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기술을 강화하는 연습

교육자들은 연습이 기술을 강화하기" 때문에 학생들은 반드시 기술을 연습해야 한다고 말한다. 이 구절이 "더 강하게 만들기"와 같이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강화의 의미로 연습의 결과를 기술하는 것이라면 문제가 없다(예: 철 막대기를 넣어 콘크리트를 강화하기). 잘 설계된 훈련과 연습은 대개 유지, 반응 지연시간의 감소, 더 높은 반응 비율, 그리고/혹은 명확 함의 형태로 더 강력한 수행을 이끈다(예 : Johnson & Layng, 1994; Swanson & Sachse-Lee, 2000). 그러나 작동적 조건의 기술적 언어 사용 측면에서 "연습이 기술을 강화한다."라는 구절은 옳지 않다. 연습의 결과로 연습한 기술이 더 강해지는 것은 사실이지만, 연습 자체는 연습한 행동에 대한 강화제가 아니다. 연습은 목표 기술이 방출되는 형태와 방식을 말한다(예: 수학 문제를 1분 안에 푸는 것). 연습은 선호하는 활동의 다양한 결과로 강화된 행동이다(예: 이 수학 문제를 풀어라, 그러면 10분 동안 자유시간을 준다."). 학습자의 역사와 선호에 따라, 특정 기술을 연습하는 기회는 다른 기술을 연습하기 위한 강화제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예: "수학 문제를 맞혀라, 그러면 읽기를 10분 동안 할 수 있다.").


인위적 강화

"학생들의 성공률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스티커나 장신구 같은 인위적 강화제 사용을 줄이고, 자연 강화제의 사용을 늘린다."에서처럼 자연 강화제와 인위적 강화제를 구분하는 경우가 있다. 어떤 저자들은 행동 법칙의 적용은 '인위적 통제'를 가져온다고 주장한다(예: Smith, 1992), 행동• 결과 수반(유관)은 강화로서 효과적이거나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으나, 그것의 요소(행동, 결과, 혹은 결과로서의 행동 변 화) 중 어느 것도 인위적일 수는 없다.
행동 변화 프로그램에서 강화제로 사용되는 자극과 강화 수반(유관)은 임상가가 고안해 내지만(그렇지 않다면 적절 한 프로그램을 만들어 낼 필요가 없을 것이다) 절대로 인위적일 수는 없다(Skinner, 1982). 강화 수반(유관)을 이야기할 때 의미 있는 구분은 자연적인 것과 인위적인 것이 아니라, 행동 변화 프로그램 이전에 원래 존재했던 수반(유관)과 프로그램의 일부로 고안된 수반(유) 사이의 구분이다(Kimball & Heward, 1993). 행동 변화 프로그램의 궁극적인 효과성은 고안된 것에서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수반(유관)으로 통제가 넘어가는 것에 달려 있지만, 인위적 강화와 같은 것은 없다.


동의어로서 강화와 피드백

어떤 사람들은 강화와 피드백을 잘못 사용한다. 이 두 용어는 공통점이 있지만, 각각 다른 조작과 결과를 가진다. 피드백은 행동 뒤에 따르는 결과의 특정 측면에 정보를 받는 것을 말한다 (예 : "잘했어. 캐시, 2개의 쿼터(역주 : 25센트 짜리 미국 동전)는 50센트와 똑같아."). 피드백은 수행에 대한 언어적 기술의 형태로 전달되지만, 진동이나 빛과 같은 다른 수단을 통해 전달되기도 한다(예: Greene, Balley. & Barber 1981) 피드백은 증가된 행동의 빈도에 대한 결과이기 때문에, 강화가 반드시 피드백을 포함해야 한다거나, 강화가 단지 피드백에 대한 행동주의자의 용어인 것으로 잘못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
강화는 항상 반응의 미래 빈도를 증가시킨다. 피드백은 강화 효과와 다음에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에 대한 촉구나 지 시를 통해 학생의 미래 수행 빈도가 늘어나게 하거나 (예: "네 필기는 좋아지고 있어. 제이슨. 하지만 T를 쓸 때는 교차시켜야 하는 걸 잊지 마."), 벌이나 지시의 효과로 인해 수행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예:"공을 칠 때 팔꿈치를 내렸어. 그렇게 하지 마.) 또한 피드백은 수행의 한 측면을 증가시키면서 다른 측면은 감소시키는, 복합적인 결과일 수도 있다. 피드백은 미래 반응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도 있다.
강화는 미래 반응에 대한 효과의 측면에서 기능적으로 정의된다. 피드백은 형식적인 특성으로 정의된다. 수행의 어떤 측면에 대한 정보), 한 개념은 다른 개념의 필요나 충분조건이 아니다. 즉, 강화는 피드백이 없어도 발생할 수 있고, 피드백은 강화 효과 없이 일어날 수도 있다.
때론 상식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나을 수 있다. 행동분석의 기술적 용어는 복잡하고, 이것을 마스터하는 것은 쉬운 문제가 아니다. 행동분석을 시작하는 학생들만이 용어와 관련된 실수를 하는 것은 아니다. 잘 훈련된 임상가, 업적이 많은 연구자, 경험이 많은 권위자 또한 행동분석에 대해 말하고 쓸 때 실수를 범한다. 가장 주의 깊고 사려 깊은 행동분석가조차 복잡한 과정과 통제되지 않고 알려지지 않은 변인이 포함된 상황을 조리 있게 설명하기 위해 정적 강화와 같은 행동 개념과 원리를 사용할 때 실수를 범하기도 한다. 행동에 대한 지연된 결과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강화의 개념과 용어 대 신, Jack Michael(2004)의 충고에 따라 일반적인 기술용어 와 상식적인 관계를 사용하는 것이 의사소통에 더 좋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