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강화제 분류하기(무조건 강화제, 조건화된 강화제)

by cha-cha86 2025. 4. 16.

오늘은 강화제를 특징에 기반한 실제적 분류와 근원에 따른 기술적 분류로 나누어 살펴보도록 한다. 그러나 사람들은 강화제의 유형이나 분류와 상관없이, 강화제의 가장 중요한(정의하는) 특징은 동일하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모든 강화제는 직전에 수행한 행동의 빈도를 증가시킨다.

 

근원에 따른 강화제 분류

근원으로 분류했을 때 두 가지 기본적인 유형의 강화제가 있다-종의 진화의 산물이거나(무조건 강화제) 개인의 학습에 의한 결과(조건화된 강화제)이다.

 

무조건 강화제

강화와 관련된 특별한 학습 역사 없이 강화제로서 기능하는 자극 변화를 무조건 강화제라고 부른다.(어떤 저자들은 무조건 강화제와 동의어로 1차적 강화제와 학습되지 않은 강화제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무조건 강화제는 종의 진화 역사의 산물(계동 발생학)이기 때 문에 생물학적으로 같은 종에 속하는 모든 구성원들은 동일한 무조건 강화제에 의해 강화를 받는다. 예컨대 음식, , 산소, 온기, 성적 자극은 무조건 강화제로서 학습이 필요 없다. 음식은 영양물(Sustenance)을 결핍당한 인간에게 무조건 강화제로 기능할 수 있다. 물은 수분을 결핍당한 사람에게 무조건 강화제로 기능할 수 있다.

인간의 접촉도 무조건 강화제일 수 있다(Gewirtz & Pelaer-Nogueras, 2000). Plaeaz-Nogueras와 동료들(1996)은 아기들이 신체 접촉이 있는 상호작용을 선호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2개의 조건화 절차가 번갈아 가며 제시되었다. 접촉 조건에서는 아기가 눈 맞춤을 하면, 즉시 어른이 바로 웃으며 눈 맞춤을 하고 달래며, 아기의 다리나 발을 문질러 주었다. 비접촉 조건에서는 아기가 눈 맞춤을 하면 아이를 건드리지 않고, 눈 맞춤, 미소, 달래기를 하였다. 연구에 참가한 모든 아기들은 접촉이 포함된 조건에서 더 오랫동안 눈 맞춤을 했고, 더 높은 비율로 미소를 짓거나 소리를 내고, 더 적은 시간 동안 울고 저항했다. 위 결과와 여러 관련된 연구에서, Palaez-Nogueras와 동료들은 "이 결과는 접촉 자극이 유아 행동에 일차적인 강화제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 준다."라고 결론 내렸다.

 

조건화된 강화제

조건화된 강화제(때때로 2차적 강화제나 학습된 강화제로 불린다)는 원래 중립적이었던 자극이 하나 이상의 무조건 강화제나 조건화된 강화제와 자극- 자극 페어링을 통해서 강화제로서의 능력을 획득한 경우를 말한다. 원래 중립적이었던 자극은 반복적인 페어링을 통해, 짝지어진 강화제()이 갖고 있던 강화 능력을 획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음식이 강화제로서 제시될 때 어떤 소리가 반복해서 짝지어지면, 그 소리는 EO가 음식을 현재 효과적인 강화제로 만들 때만 '배가 고플 때 강화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중립적인 자극은 다른 강화제와 직접적인 물리적 페어링 없이도 인간에게 조건화된 강화제가 될 수 있는데, Alessi(1992)는 이를 언어 아날로그 조건화라고 불렀다.

예를 들어, 숙제를 하면 M&M 캔디를 받던 취학 전 아동들에게 노란색 색 도화지를 보여 주고 "이 노란색 종이들은 숙제를 잘하는 언니 오빠들이 받는 것이라고 설명 (Engelmann, 1975, PP. 98~ 100) 했을 때, 이 집단의 많은 아이들이 더 열심히 숙제하고, 보상으로 M&M 대신 오직 노란색 종이를 받으려고 했다. 노란색 종이가 '학습된 강화제'로 작용했다고 말할 수 있다. 실험실 연구자들은 중립 자극이 1차적 강화제(혹은 다른 학습된 강화제)와 직접적인 페어링을 통해서만 강화제가 된다고 말한다. 아이들이 M&M 대신에 노란색 종이를 원하는 것에서 볼 수 있듯이, 노란색 종이는 1차적 M&M 강화제보다 훨씬 강력한 강화 특성을 획득했다.

이 예를 위해서 아동이 회기 바로 전에 M&M을 충분히 받지 못했다고 가정하자.

조건화된 강화제의 ''은 다른 강화제와 짝지어진 횟수에 의해 결정된다고 믿지만, 소리가 음식과 더 자주 짝지어질수록 소리는 더 큰 강화력을 가진다."라는 기술은 정확하지 않다. 반복적으로 페어링을 하면 소리가 조건화된 강화제로서 기능할 가능성이 증가되지 만(심지어 단 한 번의 페어링도 때때로는 충분하다), 강화제로서 소리의 순간적인 효과성은 조건화된 강화제와 짝지어진 강화제에 대한 EO에 달려 있다. 음식과 짝지어진 소리는 오직 음식을 결핍당한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강화제로서 기능하고 학습자가 많은 양의 음식을 먹었을 경우 소리는 음식과 짝지어진 횟수와는 상관없이 강화제로서 거의 기능하지 않을 것이다.

 

일반화된 조건 강화제는 다수의 무조건 강화제와 짝지어진 결과로 생긴 조건화된 강화제로서, 강화제로서의 효과성에 있어 현재의 EO에 의존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회적 관심(가까이 다가가기, 눈 맞춤, 칭찬)은 많은 강화제와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일반화된 조건 강화제이다. 일반화된 조건 강화제가 더 많은 강화제와 짝지어질수록 효과적일 가능성이 높다. 돈은 거의 무한대의 지원 강화제와 바꿀 수 있기 때문에 대개 현재 EO와는 독립적으로 효과가 있는 일반화된 조건 강화제이다.

조건화된 강화제는 많은 행동에 대해 강화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일반화된 조건 강화제라고 불린다. 그러나 이것이 모든 강화제가 바로 직전에 발생한 어떤 행동이라도 강화할 수 있다는 것은 아니다. 조건화된 강화제는 다양한 BO 조건에서 강화로서 효과적이기 때문에 일반화된 조건 강화제라고 불린다. 여러 EO 조건에 걸친 효과 때문에 일반화된 조건 강화제는 특정 강화제의 EO를 통제하는 것이 제한된 상황에서 임상가에게 매우 유용하다.

일반화된 조건 강화제는 강화 기반 시스템으로 다양한 참가자들의 여러 행동을 증진시킬 수 있는 토큰 경제를 사용 가능하게 해 준다(: Higgins, Wiliams,& McLaughlin, 2001; Phillips, Phillips, Fixen, & Wolf, 1971). 토큰경제에서 참가자들은 다양한 목표 행동에 대해 토큰(: 점수, 체크 부호, 포커 칩)을 받는다. 참가자들은 토큰을 모아서 지원 강화제(: 자유시간, 컴퓨터 사용, 스낵) 중의 하나와 교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