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응용행동분석 측정의 정의와 절차, 측정하기

by cha-cha86 2025. 4. 9.

1. 응용행동분석에서 측정의 정의와 기능

1. 측정은 표준화된 법칙에 근거하여 관찰된 사건의 속성에 양적인 수치를 부여하는 과정이다.

2. 측정은 과학자가 경험주의를 조작화하는 방법이다.

3. 측정 없이는 과학적 지식의 3단계인 기술, 예측, 통제가 어림짐작과 사적 의견에 불과하다.

4. 응용행동분석가는 사회적으로 중요한 행동과 환경 변인 사이의 기능적 관계와 특성에 대한 답을 얻기 위해 행동을 측정한다.

5. 임상가는 치료 전과 후에 개입의 전반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행동을 측정하며, 치료 중 빈번한 측정은 치료의 지속, 수정 및 종결에 관련한 결정을 돕는다.

6. 개입에서 목표하는 행동의 빈번한 측정이 없으면, 임상가는 (a) 실제 행동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비효율적인 치료를 계속하거나, (b) 주관적 판단으로 향상이 보이지 않아 효과적인 치료를 중단할 수 있다.

7. 측정은 임상가가 치료의 효과성을 최적화하고, 치료의 타당성을 '근거 기반'으로 입증할 수 있도록 해 주며, 유사과학, 유행 혹은 이념에 근거한 치료를 알아내어, 고객, 소비자, 고용주 및 사회에 설명할 수 있도록 해주고 윤리적 기준을 달성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2. 행동의 측정 가능한 범주

8. 행동은 시간 내, 그리고 시간을 두고 발생하기 때 문에 세 가지 범주적 수량을 가지는데, 반복 가능성(횟수), 시간적 범위(지속시간), 그리고 시간적 위치(언제 행동이 발생하는가)가 이에 속한다. 이러한 속성은 단독, 혹은 복합적으로 응용행동분석가에게 사용되는 기본적 혹은 파생 측정치를 제공한다(4.5에 자세한 요약이 제시되어 있음)

9. 횟수는 관찰 기간 동안 발생한 반응의 숫자이다.

10. 비율, 혹은 빈도는 관찰 기간당 횟수의 비이다. 이는 표준 단위시간당 횟수로 표현된다.

11. 셀러레이션은 시간 단위당 반응 비율의 변화(감속 혹은 가속)에 대한 측정치이다.

12. 지속시간은 행동이 발생한 시간의 양이다.

13. 반응 지연시간은 자극의 발생과 뒤따르는 반응 사이에 경과한 시간 측정치이다.

14. 반응 간 시간(IRT)은 두 연속적인 반응 사이에 경과한 시간의 양이다.

15. 같은 차원적 양을 합하여 형성된 비율인 백분율은 사건이 발생할 수 있는 100번의 기회당 사건이 발생한 횟수로 사건의 비율적 수량으로 표현된다.

16. 기준 도달 시도수는 미리 결정된 수행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 소요된 반응 기회의 숫자를 나타내는 측정치이다.

17. 행동 형태와 반응 강도(크기)는 행동의 필수 차원적 양은 아니지만, 많은 반응군의 발생을 규정하고 확인하는데 중요한 범주다.

18. 행동 형태는 행동의 물리적 형태 혹은 모양을 지칭한다.

19. 크기는 반응이 발생할 수 있는 힘 혹은 강도를 지칭한다.

 

3. 행동을 측정하는 절차

20. 사건 기록법은 목표 행동이 관찰되는 횟수를 세고 기록하는 다양한 절차를 말한다.

21. 다양한 계시 장치와 절차가 지속시간, 반응 지연 시간과 반응간 시간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22. 시간 표집법은 간격 혹은 특정한 순간에 행동을 관찰하고 기록하는 다양한 방법을 지칭한다.

23. -간격 기록 법을 사용하는 관찰자는 관찰 기간을 일련의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나눈다. 각 간격의 끝에 목표 행동이 전체 간격 동안 발생했는지를 기록한다.

24. 부분 동간 기록법을 사용하는 관찰자는 관찰기간을 일련의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나눈다. 각 간격의 끝에 행동이 간격 도중 나타난적이 있는지를 기록한다.

25. 순간  시간 표집법을 이용하는 관찰자는 시간을 일련의 시간 간격으로 나눈다. 각 간격의 마지막에 목표 행동이 나타났는지를 기록한다.

26. 계획된 활동 점검(PLACHECK)은 순간 시간 표집법의 변형으로, 관찰자는 집단 속의 각 개인이 목표 행동을 보였는지를 기록한다.

27. 시간 표집법에서 측정으로 인한 인위적 산물이 나타나기 마련이다.

 

4. 영속적 행동 결과에 따른 행동 측정하기

28. 행동이 발생하고 난 후에 행동이 환경에 미친 효과를 측정하는 것이 영속적 행동 결과에 따른 측정으로 알려져 있다.

29. 많은 행동은 고안된 영속적 행동 결과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30. 영속적 행동 결과에 따른 측정은 많은 장점이 있다. 임상가는 다른 작업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측정하기에 불편하거나 접근이 어려운 시간 혹은 장소에서 발생하는 행동들을 측정할 수 있다. 측정이 좀 더 정확하고, 완전하며, 연속적일 수 있다. 관찰자간 일치도와 치료의 일관성에 대한 자료 수집을 촉진시킨다. 복잡한 행동과 중다 반응군의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31. 치료 결정이 회기 중 이루어져야 한다면 영속적 행동 결과에 따른 측정은 적절하지 않다.

32. 영속적 행동 결과에 적절한 행동은 다음 두 가지 조건을 충족시켜야 한다.

법칙 1 : 각 목표 행동은 똑같은 영속적 행동 결과를 산출해야 한다.

법칙 2 : 영속적 행동 결과는 목표 행동에 의해서만 산출되어야 한다.

 

5. 컴퓨터 보조 측정

33. 행동 측정과 자료분석에 사용되는 컴퓨터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시스템은 점점 더 정교화되고 사용이 용이해지고 있다.

34. 개발자들은 관찰 측정을 위해 노트북, 포켓용 컴퓨터, 개인용 휴대 정보 단말기(PDA)와 데스크톱 컴퓨터를 이용한 자료 수집과 분석 소프트웨어를 만들어 내고 있다.

35. 어떤 시스템은 다양한 범주에 걸친 다양한 행동을 동시에 기록할 수 있다. 종이와 연필 방법으로는 어렵고 시간이 소모되어 관찰이 불가능했던 방법으로 결과를 검토하고 분석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