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은 관찰과 기록을 통해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사는 학생이 수업 토론 중 손을 드는 횟수를 기록할 수 있다. 어떤 행동은 행동이 환경에 미치는 효과를 기록하여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구 강사는 타자가 공을 2루의 오른쪽 부분으로 치는 횟수를 계수기로 측정할 수 있다.
어떤 행동은 행동이 발생한 후에 그 결과로 인한 효과 혹은 산물이 나타나고, 그것들이 변화하지 않고 유지될 때 측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만약 타자가 타구 연습에서 친 야구공이 그라운드에 떨어지지 않고 누군가가 그 공을 치우지 않았다면 야구 강사는 그라운드에 떨어진 공의 수를 세는 것으로 타자의 수행에 대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다.
행동이 발생한 후 환경에 미친 효과를 측정하여 행동을 측정하는 것은 영속적 행동 결과에 따른 측정으로 알려져 있다. 영속적 행동 결과의 측정은 사후 자료 수집의 방법인데, 측정이 행동이 발생한 후에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영속적 행동 결과는 측정이 이루어질 정도로 충분히 지속되는 행동에 의해 발생한 환경의 변화이다.
영속적 행동 결과에 따른 측정은 행동 측정 방법으로 잘못 알려져 있으나 이는 어느 특정한 측정 과정 혹은 방법을 지칭하지 않는다. 대신 영속적 행동 결과에 따른 측정은 측정의 시간(즉 행동이 발생한 이후), 수단 (행동 그 자체가 아닌 행동의 효과)을 지칭하며, 이를 통해 측정자는 행동을 관찰한다. 이장에 소개된 행동을 측정하는 모든 방법- 사건 기록 법, 시간 재기, 시간 표집법으로 영속적 행동 결과를 측정할 수 있다.
영속적 행동 결과는 행동의 자연적 혹은 유발된 결과일 수 있다. 영속적 행동 결과는 넓은 범위에서 교육, 직업, 가정, 그리고 공동체 환경의 사회적으로 중요한 행동의 자연적이고 중요한 결과이다. 교육 장면에서의 예로는(DOrOw &Boyle,1908), 작문 한 글(Skinner, Filetcher, Wildmon & Belfiore, 1996), 212 쓰기 한 단어(MCCuffin, MarL, & Hleron, 1997), 다 풀 은 학습지(Alber, Heward, & Hippler, 1999), 제출한 숙제(Alber, Nelson & Brennan, 2002), 응답한 시험 문제(예 : Gamer, Heward & Grossi, 1997) 등이 있다. 걸레질이나 설거지(Grossi & Hewvard, 1998), 실금(Ackins & Mathews, 1997), 화장실 낙서(Mueller, Moore, Drgget, & Tingstrom, 2000) 분리수거(Brothers, Kraniz, &Mcclannahan, 1997), 쓰레기 줍기(Powers, Osbome, & Anderson, 1973)와 같은 행동 역시 환경에 유발한 자연적이며 중요한 변화로 측정할 수 있다.
사회적으로 중요한 많은 행동은 물리적 환경에 직접적인 효과를 주지 않는다. 소리 내어 읽기, 바른 자세로 앉기, 반복적으로 손 흔들기는 행동 결과를 남기지 않지만 사후 측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행동을 측 정하기 위해 학생이 크게 소리 내어 읽는 것을 녹음하기(Eckert, Ardoin, Daly, & Martens, 2002), 수업 시간 내 착석을 비디오로 촬영하기(Schwarz & Hawkins,
1970)와 손 흔들기의 촬영(Ahearn, Clark, Gardenier, Chung, & Dube, 2003)을 통해 연구자들은 유발된 영속적 행동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유발된 영속적 행동 결과는 때로 자연적인 영속적 행동 결과가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행동을 측정하기에 유용하다. 예를 들어 Goetz와 Baer(1973)는 아동이 만든 블록을 촬영하여 아동의 블록 쌓기의 형태 변형을 측정하였으며, Twohig와 Woods(2001)는 손톱 깨무는 버릇을 가진 아동의 손톱 사진을 찍어 손톱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1. 영속적 행동 결과에 따른 측정의 장점
영속적 행동 결과에 따른 측정은 다양한 장점을 가진다.
1) 임상가는 자유롭게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다.
행동이 발생할 때 그것을 관찰하고 기록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임상가는 관찰 기간 동안 다른 일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급 토론 시간 동안 학생의 질문, 발언, 발화를 기록하기 위해 오디오 녹음기를 사용하는 교사는 학생이 말하는 것에 집중하고 개별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등의 활동을 할 수 있다.
측정하기 불편하거나 접근이 어려운 시간 혹은 장소에 서 발생하는 행동들의 측정이 가능하다.
사회적으로 중요한 많은 행동은 연구자나 임상가 가 접근하기 어려운 시간과 장소에서 발생한다. 영속적 행동 결과의 측정은 행동이 자주 발생하지 않거나, 긴 시간 동안 발생하고 다양한 환경에서 발생하는 등 목표 행동이 발생할 당시를 관찰하기 어려울 때 사용한다. 예를 들어 음악교사는 자신이 기타를 가르치는 학생이 매일 집에서 연습하는 것을 녹음을 해 오도록 할 수 있다.
2) 측정이 좀 더 정확하고, 완전하며, 연속적일 수 있다.
비록 행동이 발생할 때 측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 방법이 항상 정확하고 완전하며 대표적인 자료를 산출하는 것은 아니다. 영속적 행동 결과를 통해 행동을 측정하는 관찰자는 시간을 갖고, 연습문제를 다시 채점하거나, 비디오를 다시 듣거나 볼 수 있다. 비디오테이프는 관찰자가 회기 중 일부를 느린 속도로 돌려 보거나, 정지시키고 반복해서 볼 수 있기 때 문에 필요하다면 반복적으로 관찰할 수 있고, 실시간의 수행에서 간과하거나 놓친 추가적인 뉘앙스나 동의 일부, 혹은 다른 행동을 보거나 들을 수 있다.
영속적 행동 결과에 따른 측정으로 좀 더 많은 참가 자에 대한 자료 수집도 가능하다. 관찰자는 비디오테이프를 한번 보고 한 참가자의 행동을 기록하고, 다시 돌려보며 두 번째 참가자의 행동을 기록할 수 있다.
행동을 비디오 혹은 오디오로 기록하여 발생한 모든 목표 행동에 대한 자료를 얻을 수 있다.
(Miltenberget, Rapp, & Long, 1999; Tapp & Walden, 2000). 목표 행동의 영구 산물이 있으면 이는 후에 행동의 시작과 종료에 대한 정확한 시간 기록이 가능한 내장 디지털 타이머(예: VCR)를 이용해 채점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정확한 시간 측정으로 자료 수집과 분석을 용이하게 한다. PROCORDER는 비디오로 촬영한 행동의 수집과 분석을 도와주는 프로그램이다. Miltenberger와 동료들은 "언제 목표 행동이 시작하고 끝나는지 정확한 시간을 기록하여 행동의 빈도(또는 비율) 혹은 지속시간을 보고할 수 있다"라고 하였다.
3) 관찰자간 일치도와 치료의 충실도에 대한 자료 수집을 용이하게 한다.
비디오 혹은 오디오 촬영은 행동의 영속적 행동 결과를 이용하여 행동을 반복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하고 연구 혹은 치료 장면에 다수의 관찰자가 들어갈 필요가 없기 때문에 관찰자 일치도 자료와 치료의 충실도에 대한 자료 수집을 도와준다.
4) 복잡한 행동과 중다 반응군의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영속적 행동 결과, 특히 비디오로 촬영한 행동 기록은 바쁜 사회적 환경에서 복잡한 행동과 중다 반응군을 측정할 수 있게 한다. Schwarz와 Hawkins(1970)는 비 디오 촬영을 통해 두 번의 수업 시간 동안 한 초등학생의 자세, 목소리 크기, 얼굴 만지기에 대한 자료를 수 집하였고, '낮은 자존감'을 조작하여 세 목표 행동을 결정하였다. 연구자는 테이프를 반복적으로 보고 각 기 다른 행동의 점수를 매겼다. 또한 이 연구에서 아 동은 개입의 일환으로 자신의 행동에 대한 비디오테이프를 보고 이를 평가하였다. 관찰자가 수업 시간의 움직임, 여러 사람의 말소리, 그리고 소란스러움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감지하고 기록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 연구에서 각 참가자는 작은 무선 마이크를 장착하여 카세트테이프 녹음기에 연결되어 있는 수신기에 신호를 전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