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가 커피 테이블을 측정해 달라고 한다면, 아마도 테이블을 측정하기 원하는 이유를 물어볼 것이다.
다시 말해서 왜 테이블을 측정하려고 하는 걸까? 왜 테이블 높이, 너비, 그리고 깊이를 알고 싶은 것인가? 테이블의 무게를 알고 싶어 하는가? 색깔이 궁금한가? 질문이 무엇이냐에 따라 테이블의 다른 범주(길이, 부피, 그리고 빛 반사)를 측정해야 한다.
커피 테이블을 비롯한 모든 물체들처럼 행동은 측정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행동은 일정 시간 내, 그리고 오랫동안 발생하기 때문에 행동분석가들이 측정할 수 있는 세 가지 근본적인 속성, 혹은 차원적 양을 갖는다.
- 반복 가능성
한 반응군의 사건들이 시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
- 시간적 범위
모든 행동 사건은 일정한 시간 동안 발생한다.
- 시간적 위치
모든 행동 사건은 다른 사건의 특정한 시점에 발생한다.
반복 가능성에 근거한 측정치
횟수
횟수는 행동의 발생을 간단하게 숫자로 표시한 것이다. 예를 들어, 수학 필기시험의 정답 수와 오답 수, 철자 시험에서 바르게 쓴 단어의 개수, 학생이 지각한 수업 시간의 수, 생산된 도구의 개수가 이에 해당한다.
행동이 얼마나 빈번하게 발생하는지가 주요 관심사일 경우가 있긴 하지만, 횟수만을 측정하는 것은 임상가가 유용한 프로그램 결정을 내리거나 분석을 하는데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이몬이 수학 시간에 치른 2번의 나눗셈 시험에서 5, 10, 15개의 정답을 썼다는 것은 수행이 향상되었음을 말해 준다.
그러나 만약 횟수가 서로 다른 시험시간, 즉 각각 5분, 20분, 그리고 60분 동안 측정한 것이라면 에이몬의 수행에 대한 다른 해석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횟수를 보고할 때에는 측정 기간, 혹은 횟수를 측정한 시간이 항상 같이 언급되어야 한다.
비율/빈도
응용행동분석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측정치 중 하나는 관찰 시간과 횟수를 함께 측정하는 것, 즉 반응 비율이며, 시간 단위당 반응 수로 정의된다. 비율 혹은 빈도 측정은 횟수와 시간의 두 번주로 구성된 비이다.
횟수를 빈도/비율로 전환하는 것은 측정을 더욱 의미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유미가 1분에 95단어를 바르게 읽고 4단어를 잘못 읽었으며, 리는 10분 동안 250단어를 쓸 수 있고, 조안은 1시간 동안 17번의 자해 행동을 보였다는 사실은 중요한 정보와 맥락을 제공한다. 앞서 제시한 에이몬의 3개의 수학 수행능력 측정치를 비율로 표현하면, 3개의 연이은 수업에서 1분당 1.0개, 0.5개, 그리고 0.25개의 비율로 나눗셈 문제에 정답을 맞힌 것을 알 수 있다.
연구자와 임상가는 보통 비율 자료를 10초, 1분, 하루, 일주일, 한 달, 혹은 1년당 나타나는 수로 제시한다.
실험 내, 그리고 실험 간 시간 단위가 표준화되어있다면, 비율 측정치는 비교 가능하다. 또한 서로 다른 관찰 시간 동안 얻어진 반응 숫자의 비율을 비교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한 학생이 4개의 수업에서 각각 20분 동안 12번, 12분 동안 8번, 15분 동안 9번, 그리고 18분 동안 12번 대답을 하였다면, 반응 비율은 1분당 0.60, 0.67, 0.60, 0.67로 나타낼 수 있다.
항상 관찰 시간을 제시하라.
반응 비율 자료를 보고할 때, 연구자와 임상가는 항상 관찰 시간을 제시해야 한다.
관찰 시간이 없는 비율 측정치를 비교하면 자료를 잘 못 해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같은 지문을 읽은 두 학생이 똑같이 1분당 100개의 단어를 정확히 말하고 오반응은 하지 않았을 경우, 두 학생은 동등한 수행능력을 가진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관찰 시간을 알지 못할 경우 두 학생의 수행능력을 비교, 평가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샐리와 릴리안이 똑같이 1마일당 7분의 비율로 달린다고 가정해 보자. 둘이 어느 정도의 거리를 달렸는지를 모른다면, 우리는 둘의 수행을 비교할 수 없다. 1마일에 7분 비율로 1마일을 달리는 것과 1마일에 7분 비율로 마라톤 거리를 달리는 것은 다른 행동이다.
회기마다 관찰 시간이 바뀔 경우 비율 측정치와 함께 각 회기 동안 소요된 관찰 시간을 함께 보고해야 한다.
예를 들어, 교사가 시간을 정하고 수학 문제를 풀게 만들기보다는, 각 수업 시간에 학생이 주어진 수학 문제를 전부 푸는 데 소요된 시간을 기록한다. 이 경우 관찰 시간이 회기마다 바뀌기 때문에 교사는 회기마다 1분당 정답 및 오답의 비율과 각 회기의 관찰 시간을 보고한다.
기술 습득을 평가할 때에는 정반응 및 오반응의 비율을 계산하라.
참가자가 정반응과 오반응을 모두 보일 수 있다면, 각각 행동에 대한 반응 비율을 보고해야 한다.
정반응 비율과 오반응 비율을 계산하는 것은 기술 습득을 평가할 때 필수적인데, 수행의 향상 정도는 정반응 비율만으로는 평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정반응 비율은 단독으로 수행 향상을 보여 줄 수 있으나, 동시에 오반응 역시 증가한다면 향상으로 볼 수 없다. 정반응 및 오반응 비율 측정치는 교사에게 학생들의 수행이 얼마나 향상되고 있는지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이상적으로 정반응 비율은 수행 준거, 혹은 목표 도달을 가속화시켜 주며, 오반응 비율은 낮고 안정된 수준으로 속도를 감속시킨다. 또한 정비율과 오비율을 보고하는 것은 측정치의 수량을 알고 있다면 비례 정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해 준다.
정반응 및 오반응 비율은 능숙도를 평가하는데 필수적인 자료를 제공한다. 능숙도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시간 단위당 정반응과 오반응의 숫자를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분석가는 능숙도를 정비율만 가지고 평가할 수 없는데, 능숙한 수행은 또한 오류 없이 정확해야 하기 때문이다.
반응의 복잡성을 고려하라.
반응 비율은 기술 습득이나 능숙함을 증진시키려는 과제에서 한 반응과 다른 반응 사이의 난이도나 복잡도가 관찰 내, 그리고 관찰 사이에 일관적일 때 민감하고 적절한 측정치가 될 수 있다. 앞서 논의했던 반응 비율 측정치는 반응에 소요되는 조건이 각각의 반응 사이에 동일하게 유지된다. 그러나 많은 중요한 행동들은 2개, 혹은 그 이상의 행동이 관련되며, 각기 다른 상황들은 행동의 다양한 과정 혹은 조합을 필요로 한다.
여러 요소가 결부된 행동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반응 비율을 측정하는 한 가지 방법은 정반응을 도출하기 위하여 필요한 작업의 수를 계산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연구자가 학생들의 수학 계산능력을 측정할 때, 2자리 숫자와 3자리 숫자를 더하는 문제를 정답과 오답으로 나누어 수를 세기보다는, 각각의 문제를 완성하기 위해 필요한 해결 단계의 수를 고려할 수 있다.
자유 작동을 측정하기 위해 반응 비율을 사용하라.
반응 비율은 자유 작동이라 불리는 행동을 측정하기에 유용하다.
자유 작동이라는 용어는 구체적인 시작과 끝이 있으며, 시간과 공간상 유기체의 움직임을 최소한도로 요구하며,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고, 완성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지 않으며, 반응 비율이 넓게 나타나는 행동을 가리킨다.